건국대 연구팀, 염증성 피부질환 제어 ‘조절B세포’ 면역조절 기전 발견
건국대 연구팀, 염증성 피부질환 제어 ‘조절B세포’ 면역조절 기전 발견
  • 복현명
  • 승인 2019.07.30 1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혁순(왼쪽부터)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교실 교수, 이민범 박사과정생, 최완수 교수. 사진=건국대.
김혁순(왼쪽부터)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교실 교수, 이민범 박사과정생, 최완수 교수. 사진=건국대.

[스마트경제 복현명 기자] 건국대학교 연구진이 아토피성 피부염 등 염증성 피부질환을 억제하는 세포기반의 새로운 치료 기전을 제시했다.

김혁순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교실 교수와 최완수 교수, 이민범 박사과정 연구팀은 염증성 피부질환 동물모델에서 조절B세포에 의한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했고 이런 조절B세포의 염증 억제기능은 비만세포가 관장하는 면역조절 경로를 통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신체의 항상성 유지는 외부 유입된 항원을 제거하려는 염증반응과 이로 인한 체내 손상 회복을 면역억제와 같은 면역관용 유도의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 대부분의 염증질환은 이런 항상성 유지의 불귤현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초래된 과민한 염증반응에 대해 면역억제·면역관용 유지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아 난치성과 만성화되는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치료제 개발이나 기전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속가능한 근본적인 치료보다는 염증현상의 완화에 그 치료효과가 그치고 있다.

이에 건국대 연구팀은 조절B세포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0을 분비해 염증성 피부질환 완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고 이런 면역조절 반응은 염증성 피부질환 동물모델 내 주요 림프조직에서 조절B세포와 다른 면역세포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급성 알레르기 반응의 주요세포인 비만세포 또한 염증질환의 환경에 따라 면역조절세포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했고 기존의 특정 염증유발세포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벗어나 환자의 면역계 특이적인 세포간의 상호성을 고려해 보다 적절하고 지속가능한 세포치료제 도입 필요성을 설명했다.

김혁순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교실 교수는 “이 연구는 고전적 면역관용 유도 기전과 달리 현재 많은 부분이 불확실한 말초면역관용의 유도 기전에서 비만세포의 중요한 기능과 조절B세포가 주변의 면역세포들과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염증반응을 억제하는지 그 과정을 규명한 것”이라며 “향후 조절B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을 앞당기고 아토피성 피부염 등 염증성 피부질환의 만성화와 재발에 보다 근본적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의과학연구센터와 기초연구지원사업(집단연구)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7일자로 게재됐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