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지속 등으로 글로벌 위험회피 성향이 증대될 경우 자본 유출입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새해는 금융·외환시장 안정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3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으로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미중 무역분쟁 등을 꼽으며 "우리나라는 자본시장 개방도와 실물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높아 대외 리스크 변화의 파급 영향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한미 금리가 0.75%포인트 역전한 상황에서 내년에도 미국이 추가로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대외 리스크 변화가 금융시장 가격 변수, 자본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한국 경제 성장 잠재력이 지속해서 약화하고 있다며 "지나친 비관론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경각심을 가지고 필요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구조조정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미래 성장의 원천이 될 선도산업을 발굴·육성하는 것은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는 우리의 과제"라고 덧붙였다.
새해 통화정책 방향을 두고는 "우리 경제가 2%대 중후반의 성장세를 보이고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경기와 물가 흐름 등 거시경제 상황과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책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내년 3월부터 외환시장 개입 내역을 공개하는 방안을 두고도 이 총재는 "시장 변동성이 크게 높아진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하겠다"고 밝혔다.
미 연준처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달라진 시장 상황에 적합한 정책 운용 체계에 대해 논의도 해야 한다고 했다.
이 총재는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중립금리(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 없이 잠재성장률을 회복할 수 있는 이상적인 금리 수준) 수준이 낮아졌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가 하강 국면에 진입할 경우 통화정책의 대응 여력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한은도 여건 변화에 적합한 정책운영 체계, 수단을 깊이 고민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핀테크 혁신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지급 서비스 활성화를 지원하는 한편 변화에 내재한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재난 등으로 빚어질 수 있는 지급결제 시스템 장애에 대비해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에도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한은 직원들을 향해서는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서 우리의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경직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노력을 소홀히 해선 안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porqu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