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65세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유엔이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한 국가의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14%·20% 이상이면 각각 고령화사회·고령사회·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 집계 결과'에 따르면 국내 거주하는 총 인구는 5,142만 명(이하 2017년 11월 1일 기준)으로 1년 만에 약 15만 명(0.3%)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자 2,577만 명, 여자 2,565만 명으로 2016년에 비해 남자는 7만 명, 여자는 8만 명 증가했다. 인구 비율은 내국인은 4,994만 명, 외국인은 148만 명으로 외국인 비율은 총 인구의 2.9%로 나타났다.
-한국 고령사회 진입, 생산연령인구도 첫 감소
연령별 인구분포에서는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처음으로 감소한 가운데, 65세이상 고령인구비율이 14.2%로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지난해 3,620만명(72.5%)으로 11만명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65세 이상)는 지난해보다 34만명 늘었다. 유소년인구수는(0~14세)는 일 년 새 14만명이 감소한 663만명(13.3%)을 기록했다.
-경기도가 인구수 최다, 서울 인구 6만명 감소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2,55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9.6%를 차지하며 2016년 2,539만명에 비해 13만명(0.5%) 증가한 수치다. 경기와 인천은 각각 18만명과 1만명 증가했으며, 서울은 6만명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도가 전체인구의 25.0%(1,285만 명)로 가장 많으며, 서울(18.9%), 부산(6.6%), 경남(6.5%) 순이었다. 2016년에 비해 인구 증가율이 높은 시도는 세종(14.1%), 제주(3.0%), 경기(1.4%)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148만 명(총인구의 2.9%)으로 2016년에 비해 7만 명(4.6%) 증가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계(한국계 중국, 중국, 대만 포함) 외국인이 49.0%(73만 명)를 차지했다. 이 중 한국계 중국인은 50만명(33.6%)였다.
-1·2인가구 비중이 55.3%, 1인
총가구 수는 지난해보다 33만 가구 증가한 2017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2인 가구가 55.3%이며, 2016년 54.0%에서 1.3%p 증가했다.
일반 가구의 가구원 수 규모별로는 1인 가구(28.6%)가 가장 많고 2인 가구(26.7%), 3인 가구(21.2%), 4인 가구(17.7%), 5인 이상 가구(5.8%) 순이었다. 2016년에 비해 1인 가구는 0.7%p, 2인 가구는 0.6%p 증가한 반면, 3인 가구는 0.2%p, 4인 가구는 0.7%p, 5인 이상은 0.4%p 감소했다.
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70세 이상 18.0%, 30대 17.2%, 20대 17.1% 순으로 60대의 1인 가구가 74만 가구에서 81만 가구로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경제 경제팀 smart@dailysma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