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2020년까지 국제표준 5G 스몰셀 기지국 개발한다
ETRI, 2020년까지 국제표준 5G 스몰셀 기지국 개발한다
  • 백종모
  • 승인 2018.08.23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ETRI
사진=ETRI

 

국내 연구진이 2022년 상용화를 목표로 향후 5세대(G) 인프라에 필수적인 스몰셀 장비 국산화를 위해 본격 연구에 뛰어 들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5G 무선접속(NR)기반 지능형 오픈 스몰셀 기술 개발에 착수, 21일 원내서 공동연구기관과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워크샵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은 5G 핵심조건인 최대 전송속도(eMBB) 향상 중 사용자 체감 전송속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진은 개발 중인 기술이 상용화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개방형 구조를 지향함으로써 새로운 융합 생태계가 마련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 장비는 일체형 스몰셀이 대부분이었는데 본 기술은 기능별로 장비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다. 이러한 특징은 사업자가 목적에 따라 장비를 따로따로 나눌 수 있어 다양한 장비 생태계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몰셀 위에 개방형 API를 제공해 스몰셀이 장착되는 빌딩, 쇼핑몰, 경기장 등과 같은 지역에서 목적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쉬워진다. 따라서 이에 맞는 생태계 마련도 가능해 사업자가 서비스 조력자(Enabler)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ETRI는 SK텔레콤, 콘텔라, 유캐스트와 공동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국제표준기구인 3GPP의 NR 첫 번째 단계 규격을 제공하는 5G NR 스몰셀 기지국을 개발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설정했다.

LTE망을 이용하되 대용량, 초고속 데이터 통신이 필요할 때만 5G를 이용하는 기술을 먼저 개발한 뒤, LTE망 없이 5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술까지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LTE에서 5G로 도약하기 위해 연구진은 기존 연구개발에 성공했던 LTE 스몰셀 기술을 경험으로 밀리미터파까지 수용할 수 있는 5G NR 규격 및 사용자가 체감하는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한 위치기반 빔포밍 기술을 개발, 새로운 기지국에 적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2022년까지 3GPP NR 두 번째 단계 규격에 지능형,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추가 개발하고 5G 스몰셀 기지국을 상용 수준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ETRI 관계자는 "스몰셀은 소규모의 다양한 융합서비스들을 쉽게 수용할 수 있어 중소기업 진출이 가능한 분야"라며 "5G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중소 기업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핵심 원천 특허를 확보, 이를 통해 스몰셀 분야 국제표준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ETRI 김태중 미래이동통신연구본부장은 "5G 스몰셀 기반기술의 국산화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이동통신 장비시장 참여를 위한 돌파구가 될 것이다. 이로써 다양한 5G 융합서비스 적용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재학 미래통신/전파 PM도 "5G 스몰셀은 우리나라 강소기업이 진출 가능한 장비시장으로 국가기술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다가올 5G 시대에는 새롭게 채택한 고주파 대역(밀리미터파)의 전파 특성상 스몰셀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몰셀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트래픽을 감당키 위해 활용될 것이라는 점이다. 스몰셀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지만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연구진은 지난 2016년 통신사각지대를 없애주는 LTE기반 스몰셀 SW개발에 성공했고 올해 초에는 보다 업그레이드된 LTE-A Pro기반 스몰셀 SW개발에 성공하여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을 했다. 기술을 이전받은 업체는 배낭형 기지국 제품으로 만들어 해외 시장 진출도 모색 중이다.

백종모 기자 phanta@dailysmar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